Hugo를 선택하게 된 이유#
블로그를 새로 만들까 말까 고민은 늘 해왔지만, 매번 “어차피 몇 번 쓰다 말겠지”라는 생각에 그만두곤 했습니다. 실제로 Next.js, Astro 등을 활용해 심플한 블로그를 만들어본 적도 있었고, Starlight, Docusaurus 같은 문서 중심의 프레임워크도 테스트해봤습니다.
하지만 네비게이션이나 라우팅 외 대부분 기능은 직접 구현이 필요했고, 커스터마이징도 꽤나 손이 많이 들었습니다. 결국 몇 번 포스팅만 하고 방치되곤 했죠. 블로깅 자체보다 “만드는 일”에 모든 에너지를 써버렸던 겁니다.
그렇다고 기존의 플랫폼이 딱 마음에 들지도 않았습니다.네이버 블로그는 학창 시절 공부한 내용 정리용으로는 좋았지만, 개발자라는 본업을 생각하면 더 이상은 쓰고 싶지 않았고, Velog, Medium, Brunch 같은 플랫폼은 트렌드에 너무 휘둘리는 느낌이 들었습니다.
그런 와중에 GeekNews를 통해 접한 이 포스트가 눈에 띄었습니다.
평소 메모 툴로 사용하던 Obsidian과의 궁합, 익숙한 GitHub & Cloudflare 활용, 정적 블로그로서의 빠른 배포 경험까지 모두 궁금증을 자극했습니다.
Hugo의 주요 특징#
세계에서 가장 빠른 웹사이트 구축 프레임워크
Hugo는 가장 인기 있는 오픈소스 정적 사이트 생성기 중 하나입니다. 놀라운 속도와 유연성을 자랑하는 Hugo는 웹사이트 구축을 다시 한번 즐겁게 만들어 줍니다.
다른 스택들과 비교하며#
사실 블로그를 진지하게 다시 만든다면 익숙한 Next.js로 가거나, 감각적인 디자인의 Astro, 혹은 Ghost 등을 고려하고 있었습니다.
하지만 위 포스트 내용을 읽고 비교해보니, Hugo + Cloudflare Pages 조합은 배포 과정이 너무 간단해서 마음의 진입장벽이 확 낮아졌습니다. 이미 Cloudflare에는 익숙하고, Go 언어도 과거에 살짝 배워봤으며, Obsidian은 일상적인 기록 도구로 잘 활용하고 있었던 터라 이 조합이 정말 자연스럽게 다가왔습니다.
Hugo 테마 비교: Bear vs Blowfish#
Bear 테마#
Hugo를 테스트해보면서 가장 먼저 적용해본 테마는 Bear였습니다.
Cloudflare Pages에 배포까지 1시간도 채 걸리지 않았고, 굉장히 심플한 형태로 빠르게 결과를 볼 수 있었습니다.

텍스트 기반 블로그에는 잘 어울리는 미니멀한 스타일이지만, 여행 사진이나 음식 사진 등 이미지 기반 콘텐츠를 올리기에는 조금 단조로운 느낌이 있었습니다.
Blowfish 테마#
Bear보다 다소 복잡하지만, Blowfish는 훨씬 더 세련되고 풍성한 기능을 제공해 줍니다.
- 다양한 초기 레이아웃 제공
- 숏코드를 이용한 유연한 콘텐츠 작성
- GA4, Umami 등 웹 분석 툴과의 쉬운 연동
- 반응형 디자인과 커스터마이징 옵션
다만, 설치 당시 Hugo 최신 버전과의 호환성 이슈로 v0.141로 다운그레이드하여 설치해야 했습니다. 설치 이후엔 공식 문서를 참고하며 필요한 부분만 차근차근 적용하고 있습니다.
기능을 다 활용하진 못했지만, 블로그에 익숙해질수록 숏코드, 파셜, 커스터마이징 등 더 많은 기능을 활용해볼 계획입니다.#
결론#
마무리하며
이번에는 ‘만드는 재미’보다 ‘글을 쓰는 습관’에 집중해보고자 합니다.
아무리 훌륭한 플랫폼이라도 결국 가장 중요한 건, 글을 ‘꾸준히’ 쓰는 일이니까요.
